본문 바로가기
일상 정보

경주 지진(지진 발생 시 행동요령)

by 순수돈정보 2025. 5. 8.
반응형

경주 지진(지진 발생 시 행동요령)

과거 2016년 9월 12일,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주에서 발생한 리히터 규모 5.8의 지진
한반도 역사상 관측된 내륙 지진 중 가장 강력했던 사건으로 기록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경주 지진의 규모, 진앙지, 여진 기록, 이후 지진 활동 추이까지
자세히 살펴보고, 지진 대비를 위한 안전 수칙까지 함께 안내해드립니다.

📍 2016 경주 9.12 지진 개요

  • 📅 발생일: 2016년 9월 12일
  • 📍 위치: 경상북도 경주시 남남서쪽 8km 지역 (35.77°N, 129.07°E)
  • 📏 규모: 리히터 규모 5.8
  • 💢 계기진도: 최대 Ⅲ (경북), Ⅱ (경남, 대구, 울산)
  • 🕗 시간: 오후 8시 32분경

경주 지진은 1978년 지진 관측 이래 한반도 내륙 최대 규모의 지진으로 기록되었으며,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흔들림을 느낄 수 있었던 이례적인 사례였습니다.

🔍 경주 지역 최근 지진 발생 내역 (2020~2025)

발생일규모위치
2025.05.07 2.5 경북 경주시 남서쪽 17km
2025.05.07 2.0 경북 경주시 남서쪽 17km
2024.01.24 2.0 경북 경주시 남남서쪽 11km
2023.11.30 4.0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9km
2022.07.21 2.3 경북 경주시 남남서쪽 8km
2021.03.16 2.6 경북 경주시 남남서쪽 11km
2020.11.15 2.1 경북 경주시 남남서쪽 11km

최근에도 경주 인근 지역에서는 규모 2.0~4.0의 지진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지진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과 대비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2025.5.7 진원지

⚠️ 경주 지진이 남긴 영향

  • 건물 균열 및 피해 접수 1000건 이상
  • 문화재 일부 손상 (불국사, 석굴암 인근 진동 감지)
  • 시민 불안감 확산 및 여진 수차례 감지
  • 지진 경보 시스템 개선 및 교육 강화 계기 마련

🛡️ 지진 발생 시 안전 행동 요령

✅ [1단계] 실내에 있을 때 안전 행동 요령

  • 탁자 아래로 몸을 숨기고 머리를 보호하세요.
    → 머리, 목, 척추를 가방, 방석, 팔로 가립니다.
  • 창문·유리 근처에서 멀어지세요.
    → 유리 파편으로 인한 부상을 막기 위해
  • 가전제품 및 무거운 가구에서 떨어져 있으세요.
    → 냉장고, TV, 책장이 쓰러질 수 있습니다.
  • 가스를 끄고, 문을 열어 대피로를 확보하세요.
    → 지진 후 화재 가능성이 큽니다.

✅ [2단계] 건물 밖에 있을 때 행동 요령

  • 건물, 전신주, 간판에서 떨어지세요.
    → 무너짐·추락물 위험이 큽니다.
  • 유리창 근처는 즉시 피하세요.
  • 공터나 주차장 등 넓은 공간으로 이동하세요.

✅ [3단계] 이동 중일 때 행동 요령

  • 운전 중이라면 즉시 도로 가장자리에 정차하세요.
    → 비상등을 켜고, 차량 안에서 라디오로 상황 확인
  • 지하철·버스 안에서는 안내 방송에 따르세요.

✅ [4단계] 고층 건물이나 엘리베이터 안에 있을 때

  • 엘리베이터는 즉시 사용 금지!
    → 지진 시 전력 차단으로 갇힐 수 있습니다.
  • 계단을 이용해 이동하며, 벽을 짚고 천천히 내려가세요.

✅ [5단계] 지진이 멈춘 후 행동 요령

  • 건물 밖으로 대피할 때는 여진에 주의하세요.
  • 긴급 대피소나 지진대피장소로 이동
    → 지역별 지정된 대피소 확인 필요
  • 이웃과 함께 행동하며 도움 요청 또는 제공

✅ [6단계] 여진 발생 시 추가 대처 방법

  • 다시 안전한 장소(탁자 아래 등)로 피신
  • 건물에 균열이 있는 경우 절대 재진입 금지

✅ [7단계] 지진 대비를 위한 사전 준비

  • 📦 지진 대비 키트 준비
    (손전등, 라디오, 건전지, 생수, 응급약품, 호루라기 등)
  • 📱 가족 비상 연락망 정리 및 위치 공유 앱 설치
  • 🏫 학교·직장 지진 대피 훈련 주기적 참여

행정안전부 지진 대응 매뉴얼 보기

📝 마무리

경주 지진은 단발성 사건이 아닌, 현재도 이어지는 지각 활동의 일부일 수 있습니다.
지역 주민과 전국민 모두가 지진에 대한 경각심을 갖고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앞으로도 관련 정보와 대응 지침을 블로그를 통해 꾸준히 업데이트하겠습니다.

반응형